동인파동 - 대각삼각형 - 종결쐐기형 패턴

동인파동 - 대각삼각형 - 종결쐐기형 패턴
동인파동(Motive Wave) 내 파동의 종류는 크게 (1) 충격파동(Impulse Wave)(2) 대각삼각형(Diagonal Triangle)으로 나뉜다.
대각삼각형(Diagonal Triangle)(1) 종결쐐기형(Ending Diagonal)(2) 선도쐐기형(Leading Diagonal) 로 나뉜다.

대각삼각형(Diagonal Triangle) 규칙

종결쐐기형 패턴을 찾기 위해서는 동인파동의 개념대각삼각형의 개념을 먼저 이해해야한다.

동인파동 : 5파의 형태를 지니며 한 단계 더 큰 규모의 파동과 같은 방향인 파동을 뜻한다.
대각삼각형 : 동인파동의 패턴을 지니고 있지만 1~2가지 조정적 성격을 가진 파동이다.

대각삼각형은 아래의 3가지 규칙을 지켜야 한다.

① 반작용 하위파동은 앞선 작용 하위 파동을 완전히 되돌리지 않는다.
② 3번째 하위파동은 가장 짧지 않다.
③ 파동4가 언제나 파동1의 범위로 들어간다.

이게 문자 그대로 읽으면 직관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는다. 이미지를 보면 직관적으로 이해된다.

① 반작용 하위파동은 앞선 작용 하위 파동을 완전히 되돌리지 않는다.

① 반작용 하위파동은 앞선 작용 하위 파동을 완전히 되돌리지 않는다.

위 그림은 반작용 하위파동이 앞선 작용 하위 파동을 완전히 되돌린 경우이다. 이런 경우는 대각삼각형을 규칙을 위배한 것이다.

(4) 반작용 파동이 (3) 작용 파동을 완전히 되돌림

위의 그림은 대각삼각형일까 아닐까?
대각삼각형이 명백히 아니다. (2) 반작용 파동은 (1) 작용 파동을 완전히 되돌리지 않았다. 하지만 (4) 반작용 파동은 (3) 작용 파동을 완전히 되돌렸기 때문에 대각삼각형 규칙에 위배된다.

② 3번째 하위파동은 가장 짧지 않다.

해당 규칙은 동인 파동이라면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위 그림에서 규칙을 위배한 경우는 오른쪽에 있는 ③ 번 그림이다. 나머지는 3번째 하위파동이 가장 짧지 않다. 가장 자주 나오는 그림은 ① 번 그림이다.

③ 파동4가 언제나 파동1의 범위로 들어간다.

③ 파동4가 언제나 파동1의 범위로 들어간다.

파동 1의 범위는 흰색 박스이다. (4) 반작용 파동은 언제나 (1) 작용 파동의 범위로 들어가야 대각삼각형의 규칙을 만족한다.

파동4가 언제나 파동1의 범위로 들어가지 않는 경우

위의 그림처럼 (4) 반작용 파동이 (1) 작용 파동의 범위로 들어가지 않는 경우는 대각삼각형의 규칙에 위배된다.
이런 형태의 파동 패턴은 동인파동 내 충격파동으로 분류한다.


종결쐐기형 패턴(Ending Diagonal)


흔히 엔딩 다이아고날이라고 불리는 종결쐐기형 패턴은 더 큰 패턴의 종결부를 이루는 패턴이다. 동인파동의 동력이 소진되어, 극적인 추세 반전이 임박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패턴이다.

① 종결쐐기형 패턴이 발생하는 위치와 형태

종결쐐기형 패턴은 앞선 파동들이 '너무 많이' '너무 빨리' 나아갔을 때 5번 파동의 위치에서 발생한다. 또한 대부분의 작용파동이 5파인 것에 비해 종결쐐기형 패턴은 모두 3파로 이루어진 3-3-3-3-3파 형태를 띄고 있다.

전형적인 종결쐐기형 패턴(Ending Diagonal)

물론 항상 5번 파동의 위치에서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일부 ABC 조정 파동 내 C파동에서도 발견할 수 있으며, 이중/삼중 3파의 경우 마지막 C파동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ABC 조정 파동 내 C파동

② 종결쐐기형 패턴의 초과진행

종결쐐기형 패턴 내 5번째 파동은 종종 '초과진행(Throw-Over)' 으로 끝나기도 한다. 파동1과 파동3의 종결점을 잇는 추세선을 일시적으로 돌파하는 것을 말한다.

종결쐐기형 파동이 진행되면서 거래량은 감소하지만, 초과진행파동이 나타나면 거래량이 급증하게 된다.

5번째 파동의 초과진행(Throw-Over)

물론 적은 확률로 5번째 파동이 저항선에 미치지도 못하고 추세 전환이 일어나는 경우도 아래와 같은 그림처럼 발생한다.

5번째 파동이 저항선에 못 미치는 경우

③ 종결쐐기형 패턴의 되돌림

종결쐐기형 패턴은 극적인 추세 반전을 일으키기 때문에 대개 최소한 시작점으로 돌린다. 즉, 최소한 이전 동인파동의 4파 지점까지는 되돌린다.

종결쐐기형 패턴의 되돌림 시작점

종결쐐기형 패턴 과거 차트 분석(BTC)

종결쐐기형 패턴이 실제 BTC 차트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나오고, 어떤 확률로 발생하는지 과거 차트를 분석해서 검증해본다.

① 1D 기준

2021-01-22 ~ 2021-04-14

날짜 : 2021-01-22 ~ 2021-04-14
패턴 발생 위치 : 5파
패턴 형태 : 3-3-3-3-3파
거래량 : 감소
5파 초과진행 여부 : 저항선 돌파하지 못함.
■ ​되돌림
: 4파 시작점 부근
날짜

가장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종결쐐기형 패턴이다.
2021-01-22 ~ 2021-04-14 3개월간 종결쐐기형 패턴이 진행되었다.

패턴 발생 위치

30,000부근 선에서 4번 파동 완료 후 5번 파동의 위치에서 발생했다.

패턴 형태

위의 차트를 보면 1,2,3파는 5파로 보이고, 4,5 파는 3파로 보인다. 하지만 규칙에 의거하면 3-3-3-3-3 파 형태이기 때문에 세부카운팅을 3파로 카운팅해야 한다.

[1번 파동 : 3파]

종결쐐기형 패턴 1파

멀리서 보았을 땐 5파 임펄스로 보였으나, 세부 카운팅을 해보면 3파이다. 물론 파동이 이미 나왔기 때문에 분석하기 쉬운 것이다.

ABC 파동335 플랫 조정파동으로 나왔다.
A파동은 노란색 ⒶⒷⒸ 3파로 나왔다.
B파동은 0.382 부근까지 되돌림이 나왔다.
C파동은 A파동 길이에 2.618 부근까지 노란색 5파 충격파동(5파 연장)으로 나왔다.

해당 세부 카운팅이 '우선 계산' 카운팅이 이유는 B파 되돌림이 A, C 파 하위 조정 파동보다 규모가 크기 때문이다.

[2번 파동 : 3파]

종결쐐기형 패턴 2파 '우선계산'

2번째 파동 역시 멀리서 보았을 때 임펄스 파동처럼 보였으나, 3파가 확실하기 때문에 여러 방법의 카운팅을 해보았으나 위의 방식이 가장 합리적인 '우선 계산' 이라고 봐야 할 것 같다.

2번째 파동은 ⒶⒷⒸ 3파 중 파 내 종결쐐기형 패턴이 발생했다고 카운팅 하는게 가장 적합할 것 같다.
세부카운팅은 3(535 조정파동)-3(335 조정파동)-3(335 조정파동)-3(WXY조정파동)-3(535 조정파동) 파동으로 볼 수 있다.
거래량 역시 감소하는 추세이며, 종종 C파 내에서도 종결쐐기형 패턴이 발생한다. 종결쐐기형 내 5파 패턴에서 초과진행이 발생했다.
또한 되돌림도 B파 종결점이자, 종결쐐기형 패턴 시작점까지 되돌렸다.

종결쐐기형 패턴 2파 '대안계산'

위 차트는 종결쐐기형 패턴 2파의 '대안계산' 이다. ABC 로 깔끔하게 3파로 떨어진 것으로 계산해볼 수 있다.
하지만 해당 계산에는 일부 원칙과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바로 A파 내의 535 조정 파동(abc 파동)의 b파동이 더 큰 규모의 파동인 B파동 보다 가격 변화가 더 크게 일어나고 있다.

[3번 파동 : 3파]

거래량

거래량은 명확히 감소 추세인 것을 알 수 있다. 단지 아래 차트 이외에 다른 거래소에서는 명확한 감소 추세가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다. 해당 기간 차트 동안 거래량이 가장 높았던 메인 거래소 기준으로 봐야할 것이다.

5파 초과진행 여부

명확히 1파동 종결점과 3파동 종결점을 잇는 저항선에 닿지 않고 추세가 전환되었다.

되돌림

되돌림은 종결쐐기형의 시작점인 4파 종결점 부근까지 하락했다.

피보나치 기준으로는 0.618 부근까지 하락한 것을 알 수 있다.

하락 다이버전스

일봉상 하락다이버전스가 4번 발생했다.

② 1H 기준

③ 15m 이하 기준

Subscribe for daily trade. No spam, just prof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