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8 매매 계획

2025-08-08 매매 계획

6% 위험관리를 계산해보니 2,165 USDT 였다. 이번 포지션은 현재까지는 수익 중이며, 수익실현한 금액이 113.7 USDT 이다.

25-08-005 매매일지(W) : 3W-2L
2025년 8월 5일 진입 및 청산한 8월의 5번째 매매의 트레이딩 일지입니다. 1.매매 결과 ■ 매매 승패 : Win ■ 날짜 : 2025/08/03 12:47:33 ~ 2025/08/05 17:30:58 ■ 기초자산 : 376.7208 USDT (300.71USDT 입금) ■ 기말자산 : USDT ■ 종목 : OKX:BTCUSDT.P ■ 포지션 : Long Position ■ 레버리지 : 50배 ■ 총 포지션

현재 계좌 잔고 2,286 USDT 기준으로 113.7 USDT 를 빼면 2,173.3 USDT 로 아슬아슬하게 전체 한달 기준 6% 를 넘지 않았다.

물론 오픈 포지션의 손실 평가액까지 포함할 경우 -250 USDT 까지 내려갔었으니 실제로는 현재 계좌의 -10.8% 까지 손실을 감당한 셈이니, 앞으로는 더욱 더 신경써서 위험 관리를 해야 한다.


레버리지 위험 관리

2% 인 45 USDT 로 손실제한을 하다보니 0.04 BTC 포지션을 갖게 되었는데, 이것이 대략 2배의 레버리지밖에 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조금 놀랍다. 아무래도 롱포지션 평단가가 좋지 않아서 그런 것으로 추측한다.

20배 레버리지 기준으로 보았을 때 0.3 ~ 0.4 BTC 까지 포지션을 보유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만약 손절가가 150틱 차이가 난다고 했을 때, 0.3 BTC 포지션을 보유할 수 있다. 반대로 손절가가 450 틱 차이가 난다고 하면, 0.1 BTC 포지션을 보유할 수 있다.

0.4 BTC 까지 포지션을 잡고 싶다면 수수료 포함해서 100틱 차이 이상 나면 안된다. 이는 너무 단기 트레이딩이 될 가능성이 높아 300틱 ~ 450틱 차이가 날 경우 0.1~0.2 BTC 를 보유할 수 있게 위험 관리를 하는 것이 좋아보인다.

트레이딩 포지션 상황

지금 현 트레이딩 포지션 상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초록색 화살표에서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진입하였으나, 마지막 C파 하락이 급격하게 나왔다. 이 때 본절 손절 하고 2번째 화살표에서 온전히 잡았으면 훨씬 수익이 높았을 것이다.

그래도 두번째 하락 때 더 떨어질 수 있었으나, 다시 반등 나온 것을 확인하고 바로 즉각 매수로 평단가를 낮췄다. 현재 평단가는 113,642로 파란색 선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현재 손절제한 가격은 2번째 화살표 매수하게 된 진입 근거인 2번째 저점으로 정한 상황이다.

즉각 상승한 것은 아니지만, 오늘 오후부터 실제 상승을 하게 되었고, 일부 수익을 실현한 상황이며, 현재 포지션은 0.04 BTC, 레버리지 기준으로는 약 2배 정도의 포지션을 보유 중에 있다.

지지선 및 저항선

상승 도중에 1차 저항선에 도달했다. 2차 지지 구간과 1차 저항선 사이에서 치고받고 하는 중이다.

장기적으로는 롱포지션을 갖고 가는게 합리적인 판단인 것 같다.

그러나 애매한 구간이기도 하다. 기술적 분석을 기반으로 했을 때는 언제든지 하락해도 이상하지 않는 차트이다. 이전 반작용 파동의 0.618 부근이 1차 저항선으로 작용하고 있고, 볼린저밴드 상 일봉 중단선을 터치했다. 심지어 하락추세채널 라인 근처이기도 하다.

장기적으로 롱을 보고 있는 이유는 아래 그림처럼 1차 지지선을 결국 지지하고 올라갔다는 점, 그리고 장기적인 상승추세선에 2번 지지하고 올라갔다는 점이다.

또한 하락 파동이 WXYXZ 파동으로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는 상황이다. 만약 더 떨어지면 WXYXZ 파동이 A파동이고 지금 올라온 파동이 B파이며 내려가는 파동이 C파로 판단되어야 하는데 그러기에는 올라온 파동 B파가 너무 짧다.

물론 Z 파동이 제일 길게 나온다고 하면 가능성이 있다. 현재 Z 파동이 안끝났다고 보는 건데 그러기에는 사실 확률적으로 낮다.
물론 시간으로 따지면 B파가 충분히 조정 받았다고 볼 수 있으나, 나의 원칙은 가격 조정이 우선이기 때문에 아직은 충족하지 못했다고 본다. 또한 일반적으로 Z파동의 길이는 Y파동의 0.618 이거나 1.272 이다. 마침 위의 그림처럼 파동을 분석하면 Y파동의 1.272가 Z파동의 길이다.

그렇다면 사실상 삼중 복합조정 패턴으로 조정이 완성되었다고 보는 것이 확률상 가장 높다고 본다.

매매계획은?

일단 단기적으로는 조정을 받을 수 있다고 본다.

2차 지지구간 밑으로 다시 하락한다면 상단추세선 부근까지는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 2차 지지구간 밑에 손실제한 구간을 설정하고 3파 진행을 크게 하는 것을 예상하고 롱포지션을 선택해야 할 것 같다.

115,649 부근에 손절가를 설정하고, 현재 갖고 있는 포지션의 익절은 무시하고 45 USDT 손실을 감안해서 위험관리를 계산해야 한다.

매매 결과는?

실제로 조정을 받았고, 하필 2차 지지구간을 정말 딱 건드리고 다시 올라갔다. 추가 진입한 것은 손실로 마무리 되었고, 기존에 갖고 있던 포지션은 어찌되든 수익으로 마무리가 되었다.

Subscribe for daily trade. No spam, just profit.